공부/투자

'金치 프리미엄'의 탄생과 반복되는 역사

엄지왕 2025. 2. 16. 23:08
반응형

2025년 2월, 전 세계가 불확실성과 지정학적 긴장 속에서 안전자산을 찾는 가운데, 국내 금값이 국제 금 시세에 비해 무려 20% 가까이 비싸게 거래되고 있습니다.

  • 2월 14일(금) 06:00 기준 국제 금 선물 가격: 1온스당 $2,957.35
  • 당일 원/달러 환율(15:30 기준): 1,443.50원
  • 국제 금 시세 기준 1g당 가격: 약 137,265원
  • KRX 금 현물 거래소 1g당 가격: 163,530원

(우리가 금의 무게 단위를 이야기 할 때 '한 돈(3.75g)'을 사용하는것처럼 금의 무게를 말할 때 사용되는 온스는 '트로이온스'로 그 무게는 약 31.1g 입니다.)

즉, 한국에서 금 가격이 국제 금 가격보다 약 20% 가까이 비싸게 거래되는 ‘金치 프리미엄’이 형성된 것입니다.

그런데 왜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걸까요?

이 상황은 마치 과거 금세공업자들이 실제 보유한 금보다 더 많은 금 보관증을 발행하여 금융 시스템을 흔들었던 ‘장난질’을 떠올리게 합니다.
오늘은 과거의 금세공업자들이 벌였던 금융 사기(?)와 현재 국내 금 시장에서 벌어지고 있는 현상을 연결해 살펴보겠습니다.


1. 금세공업자의 '장난질'과 현재 금 시장

(1) 과거 금세공업자들의 '장난질'

은행이 존재하지 않던 시절, 사람들은 금을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 금세공업자들에게 맡겼습니다.
금세공업자들은 금을 보관해 주고, 고객들에게 '보관증(예금증서)'을 발행했죠.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금세공업자들은 한 가지 중요한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

"사람들이 맡긴 금을 한꺼번에 찾으러 오지 않네?"

이를 본 금세공업자들은 한 가지 위험한 실험을 합니다.
고객이 맡긴 금을 몰래 대출하거나, 실제 보유한 금보다 더 많은 보관증을 발행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결국, 금세공업자들의 이런 ‘장난질’은 금융 시스템을 불안정하게 만들었고, 이 때문에 오늘날의 '부분지급준비제도(Fractional Reserve Banking)'가 도입되면서 은행 시스템이 발전하게 됩니다.

이러한 이야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

https://thumbking.tistory.com/55

 

은행의 시작: 금고지기들의 '장난질'이 만든 돈

https://thumbking.tistory.com/41 위기 속에서 발휘되는 진정한 가치물 비트코인여러분들의 자산은 얼마나 되시나요?아직은 미래를 위해서 열심히 저축하고 투자를 하고있으신가요?아니면 벌써 좋은

thumbking.tistory.com

 

그런데, 이와 비슷한 현상이 현재 국내 금 시장에서도 벌어지고 있습니다.


(2) 현재 국내 금 시장에서 벌어지는 ‘金치 프리미엄’ 현상

최근 국내 금 시장에서는 국제 금 시세보다 약 20% 높은 가격에 금이 거래되고 있으며, 특히 소비자가 금을 사려고 해도 구매할 수 없는 이상한 현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를 보면 현재 금을 사고 싶어도 ‘주문 불가’ 상태가 걸려 있습니다.

한국조폐공사는 시중은행에 골드바 공급을 중단했다는 소식이 들려오고, 일부 은행은 골드바 판매를 제한한다고 합니다.

한국금거래소는 실버바 조차 공급중단을 통보했다고 합니다.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8174218

 

금 품귀현상에…조폐공사, 골드바 공급 중단

[앵커] 최근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거래가 급증하면서 품귀 현상까지 빚어지고 있습니다. 급기야 한국조...

news.kbs.co.kr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8174748

 

금 품귀 현상까지…은행은 골드바 판매 제한

[앵커] 요즘 금값이 심상치 않습니다. 가격이 치솟고 품귀까지 벌어지고 있습니다. 일부 은행은 금을 구하...

news.kbs.co.kr

https://www.mk.co.kr/news/economy/11240757

 

[단독] “실버바도 동났다”…한국금거래소, 은행에 공급중단 통보 - 매일경제

한국금거래소와 한국조폐공사가 폭주하는 금 투자 수요를 감당하지 못하고, 시중은행에 골드바 공급중단을 통보한 가운데, 대체재로 꼽히는 실버바 공급도 중단한다는 공문을 보낸 것으로 알

www.mk.co.kr

 

그리고 이는 해외도 마찬가지의 상황으로 보입니다.

https://goldbroker.com/news/london-gold-market-defaults-physical-gold-deliveries-3491

 

London Gold Market Defaults on Physical Gold Deliveries | GoldBroker.com

Since the announcement of Trump’s victory, the COMEX has been facing exceptionally high Gold delivery demands.This required a veritable airlift to transfer 393 tonnes of gold from the LBMA’s London warehouses to the COMEX vaults in New Y...

goldbroker.com

https://www.bullionvault.com/gold-news/gold-price-news/london-gold-us-demand-record-020720251

 

Buy Gold, Silver and Platinum Bullion Online | BullionVault

Buy Gold, Silver and Platinum bullion online at live wholesale prices. Secure insured storage in UK, US and Swiss vaults. View the best Gold prices online >>

www.bullionvault.com

 

이는 마치 과거 금세공업자들이 실제 보유한 금보다 많은 금 보관증을 발행했던 것을 떠오르게합니다.

우리는 원화(=금 보관증)를 내밀었음에도 실제 금을 받을 수 없는 상황에 처해 있습니다.
이런 현상이 왜 발생했는지, 그 원인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2. 국내 금 가격 급등의 원인

국내 금값이 국제 시세보다 20% 가까이 비싸게 거래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과 안전자산 선호 증가

  1.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동 분쟁, 미·중 갈등 등으로 인해 금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
    • 투자자들이 불확실성 속에서 안전자산인 금을 선호
  2. 각국 중앙은행들의 금 매입 확대
    • 2023년 이후 중앙은행들이 달러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금을 대량 매입
    • 이에 따라 금 공급량이 줄어들고, 가격이 상승
  3. 미국 연준(Fed)의 금리 정책 변화
    • 연준이 금리를 동결하거나 인하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금에 대한 기회비용 감소
    • 금에 대한 투자 수요가 늘어나면서 가격 상승

(2) 국내 금 수요 폭증과 유통 문제

  1. 급증하는 투자자 관심
    • 인플레이션과 자산 보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개인 투자자들이 금을 대량 매수
    • 결과적으로 국내 금 가격 상승
  2. 한국 금 시장의 구조적 문제
    • 한국의 금 유통량이 제한적이고, 금 거래소와 은행 간 유통 과정이 비효율적
    • 단기적으로 수요가 급증하면 국제 시세보다 높은 가격 형성
  3. 부가가치세(VAT) 부담과 규제 문제
    • 한국에서 금을 정식 유통하려면 부가가치세 10% 부담
    • 이 때문에 개인 간 금 거래가 활발해지면서, 공식 거래소에서 금 매물이 부족해짐
  4. 골드바·실버바 공급 중단
    • 실버바 한국금거래소가 은행에 공급 중단을 통보
    • 금과 은의 실물 부족 사태 심화

3. 결론: 금세공업자의 장난질을 떠올리며

우리는 지금도 과거 금세공업자들의 ‘장난질’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내가 가진 자산은 정말 내 것일까?"

과거 금세공업자들은 실제 보유한 금보다 더 많은 보관증을 발행해 금융 위기를 초래했습니다.
현재 한국 금 시장에서도 실제 금과 거래되는 금 사이의 불일치가 심화되고 있으며, 이는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남깁니다.

이제 금 투자를 고려하는 분들은 단순한 가격 상승이 아니라, 금 시장의 구조적 문제와 유통상의 리스크까지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종이 금(Paper Gold) vs. 실물 금(Physical Gold), 그리고 비트코인

우리는 다양한 이유로 인해 '실물 금(Physical Gold)'이 아닌, 거래소에서 제공하는 '종이 금(Paper Gold)'을 통해 금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는 엄지포트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우리 대부분이 금융 시스템 안에서 종이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실제 위기가 발생했을 때, 이를 실물로 온전히 회수할 수 있을지에 대한 불확실성을 안고 있습니다.

이러한 위험을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의 차이는 큽니다.
그리고 이 문제를 고민할수록, 검열 저항성이 강하고 실제 소유권을 보장받을 수 있는 자산의 중요성을 더욱 깨닫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비트코인이 중요한 이유입니다.
비트코인은 중앙기관에 의해 통제되지 않고, 스스로 소유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디지털 자산입니다.

"Not your Keys, Not your Bitcoin."

만약 여러분이 진정으로 자신의 자산을 직접 소유하고 싶다면, 비트코인이라는 대안을 다시 한 번 고민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https://thumbking.tistory.com/41

 

위기 속에서 발휘되는 진정한 가치물 비트코인

여러분들의 자산은 얼마나 되시나요?아직은 미래를 위해서 열심히 저축하고 투자를 하고있으신가요?아니면 벌써 좋은 아파트에서 좋은 자동차를 타면서 즐기는 인생을 살고 있으신가요?축하드

thumbking.tistory.com

 

여러분은 이 상황을 어떻게 바라보시나요? 

 

* 본 글을 생성형 인공지능의 도움을 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