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증시분석

적당한 긴장감은 건강에 좋다 [25/02/05(수) 증시 리뷰]

엄지왕 2025. 2. 5. 22:43

* USD/KRW 환율 은행 고시 매매기준율 15:30 기준

* 달러 지수 인베스팅닷컴 15:30 기준

* 한국 채권수익률 인베스팅닷컴 종가기준

* 미국 채권수익률 인베스팅닷컴 15:30 기준

* 금 선물 인베스팅닷컴 15:30 기준

* 그 외 미국 지수 인베스팅닷컴 종가기준(한국과 하루 차이)

 

미중 무역 갈등 본격화에도 양국 정상의 협상 기대감이 뉴욕증시를 지지하며 3대 지수 모두 상승 마감했습니다.

중국의 보복 관세 발표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 간의 협상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면서 투자 심리가 개선되었습니다.

특히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35% 이상 상승하며 강세를 보였고, 팔란티어 등 AI 및 빅테크 기업들의 호실적은 증시 상승을 뒷받침했습니다.

다만, 관세 전쟁 장기화 가능성은 여전히 시장의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안전자산 선호 현상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됩니다.

국내 증시도 이러한 영향으로 긍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달러 환율은 하락세를 보이며 안정적인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며, 코스피 지수는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세에 힘입어 2,500선을 회복했습니다.

특히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배터리, 바이오 등 첨단산업과 기술을 지원하는 가칭 ‘첨단전략산업기금’을 산업은행에 신설하겠다"고 밝혀 배터리, 바이오, IT 서비스와 AI 관련주들이 두드러진 상승세를 보이며 기술주에 대한 투자 매력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오늘 00시 미국 노동부 JOLTS(구인, 이직 보고서)는 760만건으로 발표돼 예상치 801만건을 하회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오늘 08시 한국 소비자물가지수 (CPI)는 MoM 0.7%로 발표돼 예측치 0.4%를 상회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YoY로는 2.2%로 발표돼 예측치 2.0%를 상회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오늘 22시 15분 미국 ADP 비농업부문 고용변화는 18.3만건으로 발표돼 예상치 15만건을 상회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오늘 23시 45분에는 미국 서비스 구매관리자지수 발표가 예정되어있습니다.

 

◈ 오늘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는 전 거래일보다 18.60원 내린 1,444.30원을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트럼프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이 여전하여 환율 변동성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높은 환율 변동성은 금리 인하를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투자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달러 인덱스 또한 하락했으며, 외국인 국내 증시 순매수가 환율 하락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 오늘 코스피지수는 전장보다 1.11% 오른 2,509.27로 장을 마쳤습니다.

미·중 관세 협상 기대감 등 영향으로 상승 출발한 증시는 장중 기술주 강세를 보이는 가운데, 반도체 관련주 중심 외국인·기관의 동반 매수세 확대되며 1%대 상승 마감했습니다.

① 업종동향 : 업종 전반 강세 ◈ 大(+1.2%), 中(+0.6%), 小(+0.6%)

 ○ IT서비스 +4.1%, 전기·가스 +2.2%, 섬유·의류 +2.1%, 전기·전자 +1.7%

② 주요 투자자별 동향 : 매수(외국인, 기관) vs. 매도(개인)
 ○ 외국인(억원) : IT서비스 +1,136, 전기·전자 +577, 제약 +501

 

◈ 코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54% 오른 730.98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직접환급제 도입 논의 등 영향으로 이차전지주 중심 저가매수세 유입되며 상승 마감했습니다.

① (업종) : IT서비스 +3.1%, 기계·장비 +3.0%, 제약 +1.7%
② (투자자) : 매수(외국인, 개인) vs 매도(기관)

 

◈ 02/05 장종료 기준 공매도 거래대금은 396억 원(전체 거래대금 대비 약 0.22%)으로 전 거래일 대비 약 347억 원 감소하였습니다.

 

▣ 시장별 공매도 현황

 

▣ 공매도 거래비중 상위 종목

 

▣ 공매도 잔고금액 상위 종목 (1/31)

 

미·중 무역전쟁의 긴장감 속에 투자자들은 힘든 길을 걷고있지만 희망을 가지고 있는 모습을 보입니다.

증시들의 회복에 이어 무서울 정도로 상승하는 금 가격 덕분에 엄지포트는 +0.91%로 마감하며 견조한 흐름을 유지했습니다.

매일같이 하는 고민이지만 최근 제 개인 포트폴리오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하고있습니다.

금이 가지는 비상관자산으로서의 역할에 관심이 생겨 이를 연구하고 11월 리밸런싱에 적용하려 했으나 최근 금 가격이 무서울 정도로 상승중이라 아쉬움에 있습니다.

허나 국제 금 선물 시장의 가격 상승 대비 과도할 정도로 상승하는것같아 걱정스러운 부분도 있습니다.

연구 끝에 11월에 좋은 결과가 있기를 바랍니다.

연구 내용은 가능하다면 함께 공유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 각종 기사 및 생성형 인공지능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