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증시 7

금, 하늘을 날고 철강은 흔들려도, 우리는 꿋꿋하다 [25/02/11(화)]

오늘 투자자분들의 계좌를 살펴보던 중 리밸런싱이 필요해 보였고, 이에 따라 리밸런싱을 권유해드렸습니다. 몇몇 투자자분들은 즉시 리밸런싱을 진행하여, 크게 오른 금을 일부 매도하고 다른 자산을 매수하셨습니다. 금 가격이 앞으로 더 오를 수도 있겠지만, 이러한 조정이야말로 자산배분 투자의 본질에 맞는 전략이니까요. 투자자분들이 기뻐하시고, 증액을 원하시는 모습을 보니 매우 뿌듯한 하루였습니다. 리밸런싱으로 인해 오늘 엄지포트의 정확한 수익률을 확인하지는 못했지만, +0.8% 이상 상승한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도 강한 상승세를 보인 금이 주요 수익원으로 작용하며 포트폴리오 수익을 견인했습니다. 최근 금융시장의 최대 이슈는 트럼프 행정부의 철강·알루미늄 25% 관세와 상호관세(추가 확대 가능성)로 대표되는 무역..

흔들리는 증시 속에서 차분함을 가져보자 [25/02/10(월)]

토요일에도 미국 증시에 관한 리뷰를 쓰고싶었지만 주말이 오히려 평일보다 더 바쁜 느낌이 드는 건 왜일까요? 여러분도 힘든 한 주를 시작하시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전 세계가 각종 경제 지표와 지정학적 이슈로 인해 변동성이 커지는 가운데, 엄지포트 투자자분들은 요즘 "돈 벌기 참 쉽다"라고 느끼고 계실지도 모르겠습니다.엄지포트는 큰 불확실성 속에서도 +0.59% 상승 마감하며 좋은 흐름을 이어갔습니다.언젠가 이 수익을 일부 반납할 수도 있겠지만, 이런 어려운 환경 속에서 거둔 성과라 더욱 값지게 느껴집니다. 다만 최근 금 가격의 급등을 보며, "좀 더 사둘 걸..." 하고 아쉬워하는 분도 계실 테고, "너무 많이 오른 것 같은데 팔아야 하나?" 고민하는 분도 계실 겁니다.하지만 우리는 저점도 고점도 완벽히 ..

뱉은 말은 주워 담을 수 있지만 실적은 주워 담을 수 없다 [25/02/07(금) 증시리뷰]

* USD/KRW 환율 은행 고시 매매기준율 15:30 기준* 달러 지수 인베스팅닷컴 15:30 기준* 한국 채권수익률 인베스팅닷컴 종가기준* 미국 채권수익률 인베스팅닷컴 15:30 기준* 금 선물 인베스팅닷컴 15:30 기준* 그 외 미국 지수 인베스팅닷컴 종가기준(한국과 하루 차이) 미국 뉴욕증시는 다우지수가 소폭 하락하고, S&P500과 나스닥이 상승한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기술주의 상대적 강세와 우량주(특히 제조·자동차 등)의 부진, 영란은행(BOE)의 기준금리 인하 결정(4.50%)과 이에 따른 글로벌 통화정책 흐름 혼선, 미 노동부의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가 예상을 웃돌았지만, 아직까지 고용시장이 크게 악화되지 않았다는 점,아마존 등 대형 기술주 실적 발표와 가이던스에 대한 시장 반응이라..

창 밖은 눈이 내리지만 증시에는 봄바람이 분다 [25/02/06(목) 증시 리뷰]

* USD/KRW 환율 은행 고시 매매기준율 15:30 기준* 달러 지수 인베스팅닷컴 15:30 기준* 한국 채권수익률 인베스팅닷컴 종가기준* 미국 채권수익률 인베스팅닷컴 15:30 기준* 금 선물 인베스팅닷컴 15:30 기준* 그 외 미국 지수 인베스팅닷컴 종가기준(한국과 하루 차이) 뉴욕증시는 금리 부담 완화와 미·중 관세 협상 기대감 속에 3대 지수는 일제히 상승 마감했습니다.엔비디아(+5.21%), 슈퍼마이크로(+8%) 등 AI 관련주는 강세를 보였으나, 알파벳(-7.29%)과 AMD(-6.3%)는 실적 부진으로 급락하는 모습도 보였습니다. 국채 금리 하락과 달러 약세가 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했지만, 경기 둔화 신호와 기술주 개별 실적 변동성은 향후 시장의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입니다.국내증시는..

적당한 긴장감은 건강에 좋다 [25/02/05(수) 증시 리뷰]

* USD/KRW 환율 은행 고시 매매기준율 15:30 기준* 달러 지수 인베스팅닷컴 15:30 기준* 한국 채권수익률 인베스팅닷컴 종가기준* 미국 채권수익률 인베스팅닷컴 15:30 기준* 금 선물 인베스팅닷컴 15:30 기준* 그 외 미국 지수 인베스팅닷컴 종가기준(한국과 하루 차이) 미중 무역 갈등 본격화에도 양국 정상의 협상 기대감이 뉴욕증시를 지지하며 3대 지수 모두 상승 마감했습니다.중국의 보복 관세 발표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 간의 협상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면서 투자 심리가 개선되었습니다.특히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35% 이상 상승하며 강세를 보였고, 팔란티어 등 AI 및 빅테크 기업들의 호실적은 증시 상승을 뒷받침했습니다.다만, 관세 전쟁 장기화 가능성은 여전히..

관세 충격 딛고 반등...하지만... [25/02/04(화) 증시 리뷰]

* USD/KRW 환율 은행 고시 매매기준율 15:30 기준* 달러 지수 인베스팅닷컴 15:30 기준* 한국 채권수익률 인베스팅닷컴 종가기준* 미국 채권수익률 인베스팅닷컴 15:30 기준* 금 선물 인베스팅닷컴 15:30 기준* 그 외 미국 지수 인베스팅닷컴 종가기준(한국과 하루 차이) 전일 미국 증시는 모두 하락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한 달 유예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낙폭을 일부 만회하였습니다.미국의 전통적인 대형주와 배당주는 상대적으로 견조한 흐름을 이어갔으며, 한국 증시도 반등세를 보였습니다.다만 중국에 대한 10% 추가 관세 부과가 예정대로 시행되면서, 국내 증시의 상승폭은 제한되는 모습이었습니다.암호화폐 시장 역시 가격을 상당 부분 회복했으나, 오후..

딥시크 가고 관세 온다 [25/02/03(월) 증시 리뷰]

토요일 새벽(현지 시각 01/31(금))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전쟁의 시작을 알렸고 이에 따른 미국 증시 약세의 영향으로 월요일 한국 증시는 큰 폭으로 하락하였습니다.암호화폐 시장은 토요일 새벽 가벼운 충격 후 일요일 저녁부터 월요일 오전까지 강한 하락세를 보였습니다.딥시크발 증시 충격이 서서히 회복되어가며 설 연휴를 통해 이를 절묘하게 피했던 우리 증시에 참으로 안타까운 소식이 아닐 수 없습니다.특히나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2018년 코스피 2,600p 시대를 처음 연 후 찬물을 뿌린 대형 악재로 많은 투자자들에게 아픈 기었을 남아있습니다.저도 2016년 말 처음 주식 투자를 시작하고 2018년부터 본격적인 투자를 시작하였는데 관세 정책과 코로나 팬데믹까지 이연타로 맞으며 코스피 지수가 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