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증시분석

소매판매 부진, 오히려 증시에는 봄바람 [25/02/17(월) 증시 리뷰]

엄지왕 2025. 2. 17. 23:08
반응형

오늘 아침 금 시세를 확인한 분들은 가슴을 쓸어내렸을 것 같습니다.

장중 7% 이상 급락하는가 싶더니, 순식간에 5% 이상 반등하며 이게 ‘금’인지 ‘디지털 금’인지 분간이 어려울 정도로 극단적인 변동성을 보여주었습니다.

결국 3% 이상 하락 마감하며, 금요일에 리밸런싱을 진행하지 못한 것이 아쉬운 하루가 되었습니다.

 

저는 지난주부터 금값이 위험해 보인다는 생각을 했었고, 이제는 정말 급락할 가능성이 커 보였기에 금과 관련된 글들을 급하게 작성했었습니다.

재미있는 이야기도 있으니 읽어보시면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https://thumbking.tistory.com/55

 

은행의 시작: 금고지기들의 '장난질'이 만든 돈

https://thumbking.tistory.com/41 위기 속에서 발휘되는 진정한 가치물 비트코인여러분들의 자산은 얼마나 되시나요?아직은 미래를 위해서 열심히 저축하고 투자를 하고있으신가요?아니면 벌써 좋은

thumbking.com

https://thumbking.tistory.com/56

 

'金치 프리미엄'의 탄생과 반복되는 역사

2025년 2월, 전 세계가 불확실성과 지정학적 긴장 속에서 안전자산을 찾는 가운데, 국내 금값이 국제 금 시세에 비해 무려 20% 가까이 비싸게 거래되고 있습니다.2월 14일(금) 06:00 기준 국제 금 선물

thumbking.com

 

오늘 엄지포트는 -0.37%로 마감하며 다소 아쉬운 흐름을 보였습니다.
이는 금 가격의 급락 영향이 컸으며, 리밸런싱을 진행한 투자자분들과 진행하지 않은 투자자분들 간의 수익률 차이가 0.1% 이상 발생했습니다.
이는 금요일에 두 그룹 간 차이가 거의 없었던 것과 대조적인 모습입니다.

 

금의 장기적인 모멘텀을 고려하면 가격이 다시 상승할 가능성도 있지만, 현재 한국 시장에서는 ‘金치 프리미엄’이 20% 가까이 끼어 있는 상황입니다.

이런 점을 감안할 때, 리밸런싱을 진행하는 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1. 경제 캘린더 및 경제 지표 발표]

 

오늘 미국 시장은 휴장 예정입니다.

오늘 08시 50분 일본 GDP는 QoQ 0.7%로 발표돼 예상치 0.3%를 상회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번 주 주목해야 할 경제 지표로는,

  • 2월 20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록 공개
  • 2월 21일: 미국 제조업·서비스업 PMI 발표
  • 2월 22일: 미국 기존주택판매 지표 발표

이 지표들이 시장 변동성을 키울 수 있어 유심히 지켜봐야 합니다.

 

[2. 미국 증시 및 외환시장 동향]

◈ 오늘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는 전 거래일보다 1.80원 내린 1,441.70원을 기록했습니다.

 

미국 1월 소매판매가 -0.9%로 시장 예상치를 크게 밑돌아 연준의 금리인하 기대가 되살아나면서 글로벌 달러가 약세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달러-원 환율은 결제 수요와 외국인 코스피 순매도에 따른 달러 매수세로 인해 1,440원대를 유지하며 하락 폭이 제한됐습니다.

유로화와 엔화는 러·우 종전 협상 기대 및 내외금리차 축소 영향으로 달러 대비 강세를 보이고, 국제유가는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 기대에 하락했습니다.

국내 수급 측면에서 자동차·반도체 관세 이슈 등 잠재 악재가 남아 있어, 원화가 다른 통화보다 덜 강한 흐름을 보이는 상황입니다.

향후 트럼프 관세 행보, 러·우 협상 진전, 연준의 금리정책 시각 변화 등이 달러-원 환율의 추가 하락 여부를 결정할 주요 변수로 거론됩니다.

 

[3. 국내 증시 마감 및 공매도 동향]

오늘은 미국 소매판매 부진으로 인해 금리인하 기대가 살아나고, 달러·국채금리가 하락 안정되면서 국내 증시가 지속 상승한 것이 특징입니다.

KOSPI는 장중 및 종가 기준으로 2,600선을 넘어섰고, KOSDAQ은 760선 후반까지 오르며 상승 추세를 이어갔습니다.

업종별 순환매가 활발하게 전개되어, 화학·정유·보험·이차전지·반도체 소부장 등의 강세가 두드러집니다.

다만, 자동차·전력기기·조선·방산 등은 트럼프 관세 이슈나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되면서 일시적 조정을 받았습니다.

 

◈ 오늘 코스피지수는 전장보다 0.75% 오른 2,610.42로 장을 마쳤습니다.

전주말 미국 소매판매 지표 부진 등으로 인한 해외증시 혼조세에도 불구하고 상승 출발한 증시는 기관의 전기전자주 중심 매수세 유입으로 5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2,600선 상회 마감하였습니다.

① 업종동향 : 업종 전반 강세 ◈ 大(+0.7%), 中(+1.0%), 小(+0.9%)
  ○ 보험 +6.2%, 화학 +2.6%, 증권 +1.9%, 유통 +1.8%
② 주요 투자자별 동향 : 매수(기관) vs. 매도(외국인, 개인)
  ○ 외국인(억원) : 운송장비·부품 -1,496, 전기·전자 -504, 기계·장비 -337

 

◈ 코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61% 오른 768.48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전주말 나스닥 상승 등 영향 외국인 매수세 유입되며 시총상위주 중심 강세 보이며 1%대 상승 마감하였습니다.

① (업종) : 의료·정밀기기 +4.0%, 제약 +2.4%, 금속 +2.2%
② (투자자) : 매수(외국인) vs 매도(기관, 개인)

 

◈ 02/17 장종료 기준 공매도 거래대금은 509억 원(전체 거래대금 대비 약 0.25%)으로 전 거래일 대비 약 53억 원 증가하였습니다.

 

*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 각종 보고서를 참고하고, 생성형 인공지능의 도움을 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반응형